H.264/MPEG-4 AV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264/MPEG-4 AVC는 ITU-T와 ISO/IEC가 공동 개발한 비디오 코딩 표준으로, H.264 또는 MPEG-4 AVC 등으로 불린다. 이전 표준에 비해 압축 효율이 뛰어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블루레이 디스크, HD DVD 등에서 필수적인 비디오 압축 형식으로 채택되었다. 주요 특징으로는 다중 프레임 간 예측, 공간 예측, 정수 이산 코사인 변환, 엔트로피 코딩 등이 있으며, 프로파일과 레벨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 맞춰 사용 가능하다. H.264는 특허 문제로 인해 웹 브라우저 지원에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며, 특히 인터넷 스트리밍, HDTV 방송, 디지털 시네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009년 윈도우7에 기본 코덱으로 탑재된 이후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가장 보편적인 코덱으로 자리매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TU-T H 시리즈 권고 - H.262/MPEG-2 파트 2
H.262/MPEG-2 파트 2는 디지털 TV 및 DVD 등에 사용되는 영상 압축 표준으로, HDTV 카메라의 비압축 영상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다양한 화면 샘플링 기술을 활용하며, DVD-Video, HDV, XDCAM 등에서 활용된다. - ITU-T H 시리즈 권고 - 고효율 비디오 코딩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은 H.264/MPEG-4 AVC의 후속 표준으로, 동일 화질에서 데이터 크기를 줄이거나 동일 데이터 크기에서 더 높은 화질을 제공하며, 더 큰 블록 구조, 향상된 예측 모드, 변환 기술, SAO, CABAC 등의 코딩 도구를 사용해 부호화 효율을 높인다. - H.26x - H.262/MPEG-2 파트 2
H.262/MPEG-2 파트 2는 디지털 TV 및 DVD 등에 사용되는 영상 압축 표준으로, HDTV 카메라의 비압축 영상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다양한 화면 샘플링 기술을 활용하며, DVD-Video, HDV, XDCAM 등에서 활용된다. - H.26x - 고효율 비디오 코딩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은 H.264/MPEG-4 AVC의 후속 표준으로, 동일 화질에서 데이터 크기를 줄이거나 동일 데이터 크기에서 더 높은 화질을 제공하며, 더 큰 블록 구조, 향상된 예측 모드, 변환 기술, SAO, CABAC 등의 코딩 도구를 사용해 부호화 효율을 높인다. - MPEG-4 - HE-AAC
HE-AAC는 낮은 비트 전송률에서 효율적인 오디오 압축을 제공하며, SBR 및 PS 기술을 사용하여 음질을 향상시키는 AAC-LC 기반의 코덱으로,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MPEG-4 - MPEG-4 ALS
MPEG-4 ALS는 MPEG-4 오디오 표준의 무손실 오디오 코덱으로, 높은 해상도와 샘플링 속도, 멀티 채널 오디오 및 스트리밍을 지원하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 H.264/MPEG-4 AVC | |
|---|---|
| 개요 | |
![]() | |
| 정식 명칭 | 일반적인 시청각 서비스를 위한 고급 비디오 코딩 |
| 상태 | 시행 중 |
| 시작 연도 | 2003년 |
| 최초 게시일 | 2004년 8월 17일 |
| 버전 | 14.0 |
| 버전 날짜 | 2021년 8월 22일 |
| 관련 단체 | ITU-T ISO IEC |
| 위원회 | SG16 (VCEG) MPEG |
| 기반 표준 | H.261 H.262 (MPEG-2 Video) H.263 ISO/IEC 14496-2 (MPEG-4 Part 2) |
| 관련 표준 | H.265 (HEVC) H.266 (VVC) |
| 분야 | 비디오 압축 |
| 라이선스 | MPEG LA |
| 웹사이트 | ITU-T H.264 |
2. 명명
H.264 이름은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 비디오 코딩 표준의 H.26x 라인의 멤버인 ITU-T 명명 표준을 따른다. MPEG-4 AVC 이름은 MPEG-4로 알려진 표준 제품군인 ISO/IEC 14496의 파트 10인 ISO/IEC MPEG의 명명 표준과 관련된다. 이 표준은 ITU-T에서 VCEG 프로젝트인 H.26L로 초기 개발 작업을 한 후 VCEG와 MPEG의 파트너십으로 공동 개발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업적을 강조하기 위해 H.264/AVC, AVC/H.264, H.264/MPEG-4 AVC 또는 MPEG-4/H.264 AVC와 같은 이름으로 참조하여 명명했다. 때로는 이를 개발한 JVT(Joint Video Team) 조직과 관련하여 "JVT 코덱"이라고도 한다.[90] MPEG-2로 알려진 비디오 압축 표준은 MPEG-2 비디오가 ITU-T 커뮤니티에 H.262로 알려져 있는 MPEG와 ITU-T 간의 파트너십에서 비롯된 것이다.[90] 일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예 : VLC 미디어 플레이어)은 표준을 AVC1로 내부적으로 식별한다.
1998년 초, 영상 부호화 전문가 그룹(VCEG – ITU-T SG16 Q.6)은 H.26L이라고 불리는 프로젝트에 대한 제안을 요청했으며,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다른 기존 영상 부호화 표준에 비해 부호화 효율을 두 배로 높이는 것(즉, 주어진 수준의 충실도에 필요한 비트 전송률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9] VCEG는 게리 설리번(마이크로소프트, 전 픽처텔)이 의장을 맡았다. 그 새로운 표준에 대한 첫 번째 초안 설계는 1999년 8월에 채택되었다. 2000년에는 토마스 비간트(하인리히 헤르츠 연구소)가 VCEG 공동 의장이 되었다.
H.264/AVC는 이전의 동영상 압축 표준(MPEG-2, H.263, MPEG-4 파트 2)에 비해 낮은 비트레이트(데이터 전송량)에서도 비슷하거나 더 좋은 화질을 제공하며, 다양한 시스템과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7] 2003년 표준안 발표 이후, JVT는 H.264에 대한 확장 표준안을 개발하여 고화질 비디오를 위한 FRExt(Fidelity Range Extensions)를 발표하였고(~ 2007년 버전 7), SVC(Scalable Video Coding) 모드(2007년 버전 8)와 다중 카메라를 위한 MVC(Multiview Video Coding) 확장안(2009년)을 추가하였다.
H.264라는 이름은 ITU-T의 명명 규칙을 따르며, 권고안은 시리즈에 해당하는 문자와 해당 시리즈 내의 권고안 번호로 지정된다. H.264는 "H-시리즈 권고안: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부이다. H.264는 "H.200-H.499: 시청각 서비스의 인프라" 및 "H.260-H.279: 동영상 부호화"로 더 세분화된다.[7] MPEG-4 AVC 이름은 ISO/IEC MPEG의 명명 규칙과 관련이 있으며, 여기서 표준은 ISO/IEC 14496의 파트 10으로, MPEG-4로 알려진 표준 모음이다. 이 표준은 VCEG와 MPEG의 파트너십으로 공동 개발되었으며, ITU-T에서 H.26L이라는 VCEG 프로젝트로 초기 개발 작업이 이루어졌습니다. 따라서 공통된 유산을 강조하기 위해 H.264/AVC, AVC/H.264, H.264/MPEG-4 AVC 또는 MPEG-4/H.264 AVC와 같은 이름으로 표준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때로, 이 표준은 이를 개발한 Joint Video Team(JVT) 조직을 참조하여 "JVT 코덱"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파트너십 및 복수 명명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MPEG-2로 알려진 비디오 압축 표준 또한 MPEG과 ITU-T의 파트너십에서 비롯되었으며, MPEG-2 비디오는 ITU-T 커뮤니티에서 H.262로 알려져 있다.[8]) 일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예: VLC 미디어 플레이어)은 이 표준을 내부적으로 AVC1으로 식별한다.
3. 역사
2001년 12월, VCEG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 ISO/IEC JTC 1/SC 29/WG 11)은 영상 부호화 표준을 최종 확정하기 위해 공동 비디오 팀(JVT)을 구성했다.[9] 사양의 공식 승인은 2003년 3월에 이루어졌다. JVT는 게리 설리번, 토마스 비간트, 그리고 아제이 루트라(모토로라: 나중에 아리스 그룹)가 의장을 맡았다. 2004년 7월에는 충실도 범위 확장(FRExt) 프로젝트가 완료되었다. 2005년 1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JVT는 확장 가능한 비디오 코딩(SVC)이라고 불리는 부록(G)을 통해 H.264/AVC를 확장하여 확장성을 확보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JVT 관리 팀은 옌스-라이너 옴(아헨 공과대학교)에 의해 확장되었다. 2006년 7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JVT는 3D 텔레비전 및 제한된 범위의 자유 시점 텔레비전을 목표로 H.264/AVC의 확장인 다중 시점 비디오 코딩(MVC) 작업을 수행했다. 이 작업에는 표준의 두 가지 새로운 프로파일인 다중 시점 하이 프로파일 및 스테레오 하이 프로파일의 개발이 포함되었다.
H.264/AVC의 첫 번째 버전 표준화는 2003년 5월에 완료되었다. 최초 표준을 확장하는 첫 번째 프로젝트에서 JVT는 이후 Fidelity Range Extensions(FRExt)라고 불리는 것을 개발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더 높은 샘플 비트 심도 정밀도와 Y′CBCR 4:2:2(일명 YUV 4:2:2) 및 4:4:4와 같은 샘플링 구조를 포함한 더 높은 해상도의 컬러 정보를 지원하여 더 높은 품질의 비디오 코딩이 가능해졌다. 4×4 변환과 8×8 변환 간의 적응형 전환이 있는 8×8 정수 이산 코사인 변환 (정수 DCT) 추가, 인코더 지정 지각 기반 양자화 가중 행렬, 효율적인 인터-픽처 무손실 코딩 및 추가 색 공간 지원과 같은 몇 가지 다른 기능도 FRExt 프로젝트에 포함되었다. FRExt 프로젝트의 설계 작업은 2004년 7월에 완료되었고, 초안 작업은 2004년 9월에 완료되었다.
전문적인 응용 분야를 위해 주로 고안된 5개의 다른 새로운 프로파일이 개발되었으며, 확장된 색 영역 색 공간 지원을 추가하고, 추가적인 화면비 표시기를 정의하고, 두 가지 추가 유형의 "보조 향상 정보"(사후 필터 힌트 및 톤 매핑)를 정의했다.
다음 주요 기능으로 확장 가능한 비디오 코딩 (SVC)이 표준에 추가되었다. H.264/AVC의 부록 G에 명시된 SVC는 SVC를 지원하지 않는 H.264/AVC 코덱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기본 레이어"로 알려진 서브 비트스트림을 포함하여 표준을 준수하는 서브 비트스트림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의 구성을 허용한다. 확장 가능한 비디오 코딩 확장은 2007년 11월에 완료되었다.
다음 주요 기능은 멀티뷰 비디오 코딩 (MVC)으로 표준에 추가되었다. H.264/AVC의 부록 H에 명시된 MVC는 비디오 장면의 두 개 이상의 뷰를 나타내는 비트스트림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능의 중요한 예는 입체 3D 비디오 코딩이다. 멀티뷰 비디오 코딩 확장은 2009년 11월에 완료되었다.
4. 특징
H.264는 MPEG-1, MPEG-2, H.261, H.263, MPEG-4와 같은 기존의 동영상 압축 방식과 유사하게 공간 변환, 프레임 간 예측, 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를 사용한다. 그러나 H.264는 이러한 기술들을 크게 개선하고, 산술 부호화와 같은 새로운 도구를 추가하여 압축 효율을 높였다.
특히, H.264는 16비트 정수 정밀도의 정수 변환을 사용하여 연산 복잡도를 줄이고, 디코더 간의 연산 결과 차이를 없앴다. 이를 통해 인코딩 시 로컬 디코더와 모든 디코더의 출력 결과가 완전히 동일하게 되어, 이미지 노이즈 축적을 방지하고 디코더 규격 적합성 검증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H.264는 여러 개의 참조 프레임을 허용하고, 다양한 블록 크기의 움직임 보상을 지원하며, 가중치 예측(Weighted Prediction)을 사용하여 페이드나 디졸브와 같은 특수 효과가 사용된 동영상의 화질을 향상시켰다.
H.264의 비트열 규칙(구문)은 VCL(Video Coding Layer)과 NAL(Network Abstraction Layer)의 2층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용도로 압축 데이터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H.264는 마이크로소프트의 VC-1과 함께 높은 압축 효율을 가진 동영상 압축 규격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제 표준화 단체의 규격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다.
H.264/AVC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프로파일'''과 '''레벨'''을 제공한다. 프로파일은 특정 응용 분야에 필요한 기능 집합을 정의하며, 레벨은 디코더 성능 정도를 나타내는 제약 조건 집합이다.
4. 1. 주요 기술
H.264/AVC/MPEG-4 Part 10은 이전 표준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비디오를 압축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 새로운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기술은 다른 여러 기술과 함께 H.264가 다양한 응용 환경에서 광범위한 상황에서 이전 표준보다 훨씬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 H.264는 일반적으로 MPEG-2 비디오보다 훨씬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특히 높은 비트 전송률 및 고해상도 비디오 콘텐츠에서 동일한 품질을 절반 이하의 비트 전송률로 얻을 수 있다.[47]
다른 ISO/IEC MPEG 비디오 표준과 마찬가지로 H.264/AVC에는 자유롭게 다운로드할 수 있는 참조 소프트웨어 구현이 있다.[48] 주요 목적은 유용한 응용 프로그램 자체가 아니라 H.264/AVC 기능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참조 하드웨어 설계 작업도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수행되었다.
위에 언급된 측면에는 H.264의 모든 프로필의 기능이 포함된다. 코덱의 프로필은 의도된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 사양을 충족하도록 식별된 해당 코덱의 기능 집합이다. 즉, 나열된 많은 기능이 일부 프로필에서 지원되지 않는다.
압축 알고리즘의 원리는 MPEG-1, MPEG-2, H.261, H.263, MPEG-4 등 기존 방식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공간 변환, 프레임 간 예측, 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를 채택하고 있다. H.264에서는 이러한 도구들에 대해 매우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산술 부호화나 필터 등의 도구도 추가되었다. 또한, 이미지 특징에 따라 다양한 모드를 적응적으로 사용하여 기존 방식보다 훨씬 뛰어난 압축 효율을 달성하고 있다.
기존 표준인 MPEG-1, MPEG-2 및 H.261에서는 16×16 픽셀, H.263, MPEG-4에서는 8×8 픽셀 블록(매크로 블록)을 단위로 원본 이미지 또는 프레임 간 예측의 예측 오차 이미지의 이산 코사인 변환(DCT) 계수를 구하고, 그 계수를 양자화한다. 이때, 코사인 함수를 사용하므로 실수 정밀도의 연산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H.264에서는 16비트 정수 정밀도로 연산이 가능한 정수 변환을 채택하고 있다. 이 정수 변환은 덧셈, 뺄셈 및 비트 시프트만으로 연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모두에서 구현이 매우 용이하다.
연산이 모두 정수 정밀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수 연산의 구현 차이에 따른 "디코더별 연산 결과의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고 인코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인코딩 시 로컬 디코더의 결과와 모든 디코더의 출력 결과가 완전히 동일해짐을 의미한다. 인코딩 시 로컬 디코더의 결과와 디코더의 출력 결과가 다른 경우, 인코더가 생성하는 재구성 이미지와 디코더가 생성하는 재구성 이미지가 달라지므로 프레임이 지날 때마다 이미지에 노이즈가 축적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 기존 기술에서는 DCT 연산 오차를 상쇄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인트라 매크로 블록을 삽입해야 했다. H.264에서는 정수 변환을 사용하여 오차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정기적으로 인트라 매크로 블록을 삽입할 필요가 없다.
디코더의 구현 차이에 따른 출력 결과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디코더의 규격 적합성을 검증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H.264의 관련 규격인 H.264.1은 H.264 규격 적합성 검증 방법을 규정하며, H.264로 부호화된 시험용 비트스트림과 그 디코딩 결과의 세트가 다수 부속되어 있다. 개발 중인 디코더에 시험용 비트스트림을 입력하고, 그 출력 결과와 H.264.1 부속 디코딩 결과가 엄밀히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규격 적합성 판단을 할 수 있다.
처음에는 H.264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수 변환의 블록 크기는 4×4 픽셀뿐이었다. 이 크기에서는 저해상도 동영상 압축 시 비교적 양호한 화질을 보이지만, HDTV와 같은 고해상도 동영상에서는 화질 재현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나중에 도입된 프로파일 그룹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8×8 크기의 정수 변환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프로파일에서는 프레임 내에서 4×4 변환과 8×8 변환을 적응적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과거 기술에서는 프레임 간 예측에서 참조 프레임으로 지정할 수 있는 프레임은, P 프레임의 경우 직전의 I, P 프레임, B 프레임의 경우 직전 및 직후의 I, P 프레임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H.264에서는 여러 개의 참조 프레임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장면 전환이나 이동 물체를 고려하여 더 이전의 프레임을 참조 프레임으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B 프레임에 대해서는 미래 방향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과거 2 프레임을 참조 프레임으로 지정하거나, 다른 B 프레임을 참조 프레임으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러 개의 참조 프레임 도입에 따라 I 프레임보다 이전 프레임도 참조 가능하게 되었다. 이 경우, I 프레임부터 재생을 시작하려 해도, 후속 프레임이, 재생을 시작하려는 I 프레임보다 이전 프레임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H.264에서는 I 프레임부터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조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버퍼를 클리어하여 해당 프레임부터 재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IDR (Instantaneous Decoder Refresh, 즉시 디코더 새로 고침) 프레임이 도입되었다. 즉, P, B 프레임은 IDR 프레임을 넘어서 참조 프레임을 지정할 수 없도록 정해져 있다.
기존 기술에서는 움직임 보상의 단위는 16×16 화소의 매크로 블록이 기본이었으며, H.263 및 MPEG-4에서는 8×8 화소 블록 단위의 움직임 보상도 이용할 수 있었다.
H.264에서는 더 나아가 단위 블록 크기를 추가하여 16×16, 16×8, 8×16, 8×8의 4종류에서 선택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8×8 화소 블록에 대해서는 8×8, 8×4, 4×8, 4×4의 4종류의 서브 블록 분할도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블록 크기를 이용함으로써, 형상이나 움직임에 적합한 블록으로부터 예측이 가능하다. 이는, 원리적으로는 부호화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다만,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것은 여분의 헤더가 부가되게 되어, 이것이 오버헤드가 되어 부호화 효율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장면에 적합한 움직임 보상 블록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인코더에게 요구된다.
H.264에서는 기존 방식으로는 화질 향상이 어려웠던 페이드나 디졸브 등의 특수 효과가 사용된 동영상의 화질 향상을 위해, 참조 프레임의 예측 오차에 가중치 계수를 곱하여 디코딩하는 가중치 예측(Weighted Prediction)이 채택되었다. 페이드나 디졸브는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일정한 오프셋이 걸린 것과 같은 이미지이므로, 이로 인해 예측 차이에 큰 값이 생기게 되고, MPEG-4 등에서는 화질 저하의 원인으로 문제시되었다.
4. 2. 프로파일과 레벨
H.264/AVC는 사용 영역에 맞게 특정 기술들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둔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최초 표준에는 저전력, 저해상도에 적합한 베이스라인(Baseline) 프로파일, 압축률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메인 프로파일, 스트리밍 환경에 적합한 확장(Extended) 프로파일이 있었다. 이후 표준안 개정을 통해 여러 프로파일이 추가되었다.[91]
표준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 종류를 대상으로 여러 기능 집합을 정의하며, 이를 ''프로파일''이라고 한다. 프로파일은 프로파일 코드(profile_idc)를 사용하여 선언되며, 경우에 따라 인코더에 적용되는 추가 제약 조건 집합이 사용된다. 프로파일 코드와 표시된 제약 조건을 통해 디코더는 해당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인식할 수 있다.
"레벨"은 프로파일에 필요한 디코더 성능 정도를 나타내는 특정 제약 조건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내의 지원 레벨은 디코더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화면 해상도, 프레임 속도 및 비트 전송률을 지정한다. 주어진 레벨을 준수하는 디코더는 해당 레벨과 그 이하의 모든 레벨에 대해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한다.
H.264/AVC는 2003년 표준안 발표 이후, 여러 번의 개선 및 기술 추가 작업을 통해 다양한 프로파일과 레벨을 지원하게 되었다.
4. 2. 1. 프로파일
H.264/AVC는 다양한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각 프로파일은 특정 응용 분야에 맞게 기능 집합을 정의한다. 프로파일은 프로파일 코드(profile_idc)로 선언되며, 디코더는 이 코드를 통해 비트스트림 디코딩에 필요한 기능을 파악한다.
다음은 주요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이다.
캠코더, 편집 및 전문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ntra-frame 전용 프로파일도 있다.
확장 가능한 비디오 코딩 (SVC) 확장에 따라 정의된 ''확장 가능한 프로파일''도 있다.
다중 시점 비디오 코딩 (MVC) 확장에 따라 정의된 ''다중 시점 프로파일''도 있다.
각 프로파일별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기능 | CBP | BP | XP | MP | HiP | Hi10P | Hi422P | Hi444PP |
|---|---|---|---|---|---|---|---|---|
| I 및 P 슬라이스 | O | O | O | O | O | O | O | O |
| YCbCr 색 공간 | 4:2:0 | 4:2:0 | 4:2:0 | 4:2:0 | 4:2:0 | 4:2:0 | 4:2:0/4:2:2 | 4:2:0/4:2:2/4:4:4 |
| 색 깊이 (bits) | 8 | 8 | 8 | 8 | 8 | 8~10 | 8~10 | 8~14 |
| FMO | X | O | O | X | X | X | X | X |
| ASO | X | O | O | X | X | X | X | X |
| 중복 슬라이스 (RS) | X | O | O | X | X | X | X | X |
| 데이터 분할 | X | X | O | X | X | X | X | X |
| SI 및 SP 슬라이스 | X | X | O | X | X | X | X | X |
| B 슬라이스 | X | X | O | O | O | O | O | O |
| 인터레이스 코드 (PicAFF, MBAFF) | X | X | O | O | O | O | O | O |
| 복수 프레임 참조 | O | O | O | O | O | O | O | O |
| In-loop deblocking filter | O | O | O | O | O | O | O | O |
| CAVLC 부호화 | O | O | O | O | O | O | O | O |
| CABAC 부호화 | X | X | X | O | O | O | O | O |
| 8×8 vs. 4×4 적응 변환 | X | X | X | X | O | O | O | O |
| Quantization scaling matrices | X | X | X | X | O | O | O | O |
| Separate Cb and Cr QP control | X | X | X | X | O | O | O | O |
| 그레이스케일 (4:0:0) | X | X | X | X | O | O | O | O |
| Separate color plane coding | X | X | X | X | X | X | X | O |
| 예측적 무손실 인코딩 | X | X | X | X | X | X | X | O |
4. 2. 2. 레벨
H.264/MPEG-4 AVC 표준에서 "레벨"은 프로파일에 필요한 디코더 성능의 정도를 나타내는 특정 제약 조건 집합이다. 각 레벨은 디코더가 처리해야 할 최대 화면 해상도, 프레임 속도, 비트 전송률 등을 규정한다. 주어진 레벨을 지원하는 디코더는 해당 레벨 및 그 이하의 모든 레벨에서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한다.[26]
High|하이영어 프로파일의 최대 비트 전송률은 Constrained Baseline|컨스트레인드 베이스라인영어, Baseline|베이스라인영어, Extended|익스텐디드영어, Main|메인영어 프로파일의 1.25배, High 10|하이 10영어 프로파일은 3배, High 4:2:2|하이 4:2:2영어 프로파일과 High 4:4:4|하이 4:4:4영어 프로파일은 4배이다.
루마 샘플 수는 매크로블록 수의 16×16=256배이며, 초당 루마 샘플 수는 초당 매크로블록 수의 256배이다. H.264에서는 프레임 간 예측을 사용하지 않는 매크로블록에 대해 위나 왼쪽에 인접한 매크로블록의 인접 화소로부터 보간을 통해 예측 화상을 생성하고, 해당 예측 화상과의 차분을 부호화하는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인트라 예측영어)이 채택되었다.
5. 라이선스
H.264에는 다수의 특허권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규격을 채용한 하드웨어 제품/소프트웨어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은 특허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이 라이선스에 대한 관리는 특허 풀인 MPEG - LA 컨소시엄이 특허권자의 위탁을 받아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특허가 인정되는 국가에서 H.264/AVC를 사용하는 제품의 공급업체 및 상업적 사용자는 해당 제품에서 사용하는 특허 기술에 대한 특허 라이선스 로열티를 지불해야 한다.[70] 이는 베이스라인 프로파일에도 적용된다.[71]
MPEG LA라는 사설 단체가 이 표준에 적용되는 특허 및 MPEG-4 Part 2 비디오, HEVC 및 MPEG-DASH와 같은 다른 특허 풀에 대한 라이선스를 관리한다. 특허 보유자에는 후지쯔, 파나소닉, 소니, 미쓰비시, 애플, 컬럼비아 대학교, KAIST, 돌비, 구글, JVC 켄우드,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 NTT 도코모, 필립스, 삼성전자, 샤프, 도시바 및 ZTE가 포함된다.[72] 풀 내 특허의 대다수는 파나소닉, 고도 가이샤 IP 브리지 및 LG전자가 보유하고 있다.[73]
2010년 8월 26일, MPEG LA는 최종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H.264로 인코딩된 인터넷 비디오에 대해서는 로열티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74] H.264 비디오를 디코딩하고 인코딩하는 제품에 대한 로열티 및 무료 텔레비전 및 구독 채널 운영자에 대한 로열티와 같은 다른 모든 로열티는 계속 유지된다.[75] 라이선스 조건은 5년 단위로 업데이트된다.[76]
2005년 퀄컴은 H.264 비디오 압축 표준을 준수하는 제품을 제조하여 자사 특허 2건을 침해했다는 이유로 미국 지방 법원에 브로드컴을 고소했다.[78] 2008년 12월, 미국 연방 항소 법원은 특허를 집행할 수 없다는 지방 법원의 명령을 확정했지만, 집행 불능의 범위를 H.264 호환 제품으로 제한하라는 지시와 함께 지방 법원으로 환송했다.[78]
2023년 10월 노키아는 미국, 영국 및 기타 지역에서 H.264/H.265 특허 침해 혐의로 HP와 아마존을 고소했다.[79]
6. 이용
H.264는 낮은 비트 전송률의 인터넷 스트리밍부터 HDTV 방송, 디지털 시네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동영상 규격이다. MPEG-2 파트 2에 비해 50% 이상의 비트 전송률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29] 어도비 플래시를 지원하며[1] 블루레이 디스크, HD DVD 등 다양한 표준에서 채택되었다.
6. 1. 사용률
2003년 발표 후, 고사양을 필요로 하여 사용률이 지지부진하였다. 사용률 급증의 시초는 2009년 Windows7에 H.264 코덱을 기본 탑재하면서 부터이다.[1] 2010년 PC용 소프트웨어 플레이어 보급이 대중화되었으며, 2011년 스마트폰 보급 대중화와 함께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인 코덱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6. 2. 브라우저
어도비 플래시가 H.264를 지원하면서, 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영상 규격은 H.264가 되었다. 그러나 특허 사용료 문제로 인해 웹 브라우저가 표준으로 지원하는 동영상 압축 표준으로 H.264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웹 표시 차세대 규격인 HTML5에서는 비디오 요소로 동영상 재생을 하는 기능이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동영상 포맷에 대해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H.264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HTML5에 대응하고 있는 모질라 파이어폭스, 오페라, 구글 크롬은 video 태그를 사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에서 H.264를 표준으로 지원하지 않고 WebM을 지원하고 있다.[50] 초기에는 구글 크롬도 H.264를 지원했지만, 구글은 2011년 1월 14일 H.264 지원을 중단하고, 특허 자유 규격을 요구하는 WebM을 중심으로 움직임에 협조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52]
마이크로소프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9에서 H.264를 표준으로 지원하고 WebM을 플러그인으로 지원하고 있다. 모질라는 모바일 장치의 파이어폭스에서 H.264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53] 시스코 시스템즈는 H.264 비디오 코덱의 바이너리와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시스코의 사전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사용하는 모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대해 MPEG LA에 사용료를 지불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6]

웹 브라우저 벤더인 애플(Apple Inc.)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H.264를 추진하고 있지만, 모질라 재단(Mozilla Foundation)과 오페라 소프트웨어(Opera Software), 구글(Google)은 로열티가 발생하는 점 등을 문제 삼아 적극적인 이용에 난색을 표했다. 2016년 4월 현재, 사파리(Safari),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모질라 파이어폭스(Mozilla Firefox)는 H.264를 지원하고 있지만, 구글 크롬(Google Chrome), 오페라(Opera)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6. 3. 응용 분야
H.264 비디오 형식은 낮은 비트 전송률의 인터넷 스트리밍부터 HDTV 방송 및 거의 무손실 코딩을 사용하는 디지털 시네마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H.264는 MPEG-2 파트 2에 비해 50% 이상의 비트 전송률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H.264는 MPEG-2 구현이 약 3.5 Mbit/s에서 작동하는 경우, 1.5 Mbit/s에서 동일한 디지털 위성 TV 품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9] 소니는 9 Mbit/s AVC 녹화 모드가 약 18–25 Mbit/s를 사용하는 HDV 형식의 화질과 동일하다고 주장한다.[30]H.264/AVC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표준 및 규격에서 채택되었다.
- 블루레이 디스크 및 현재는 단종된 HD DVD 형식은 H.264/AVC High Profile을 세 가지 필수 비디오 압축 형식 중 하나로 포함한다.
-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프로젝트는 2004년 말에 방송 텔레비전에 H.264/AVC 사용을 승인했다.
- 미국의 첨단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TSC) 표준 기구는 2008년 7월에 방송 텔레비전에 H.264/AVC 사용을 승인했지만, 아직 미국 내 고정 ATSC 방송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31][32]
- ATSC-M/H(모바일/핸드헬드) 표준에도 H.264의 AVC 및 SVC 부분을 사용하여 승인되었다.[33]
- 폐쇄 회로 텔레비전 및 비디오 감시 시장의 많은 제품에 포함되어 있다.
- 많은 일반적인 DSLR은 QuickTime MOV 컨테이너로 래핑된 H.264 비디오를 기본 녹화 형식으로 사용한다.
- AVCHD는 소니와 파나소닉이 설계한 고화질 녹화 형식으로, H.264를 사용한다.
- AVC-Intra는 파나소닉이 개발한 인트라 프레임 전용 압축 형식이다.
- XAVC는 소니가 설계한 녹화 형식으로, H.264/MPEG-4 AVC의 레벨 5.2를 사용한다.[34][35] XAVC는 최대 60 fps에서 4K 해상도 (4096 × 2160 및 3840 × 2160)를 지원할 수 있다.[34][35]
H.264는 아래의 방송 및 규격에서 채택되었다.
- DVB-T
- DVB-S2
- 스카이 퍼펙TV! 프리미엄 서비스
- ISDB
- SBTVD (ISDB-TB)
- 원세그
- NOTTV (2016년 6월 종료)
- DMB
- 모바HO! (2009년 3월 종료)
- 퀵타임 7
-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 9
- 마이크로소프트 실버라이트(Microsoft Silverlight) 3
- DivX Plus HD
- 네로 디지털(Nero Digital)
- 메모리 스틱 비디오 파일 포맷
- UMD
- AVCHD
- AVCREC
- HD Rec
-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 HD DVD
- Wii ([모두의 닌텐도 채널]])
- 액트비라
대부분의 동영상 공유 서비스는 Flash Video (flv) 와 H.264 (mp4)를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Full draft
MPEG-4, Advanced Video Coding (Part 10) (H.264)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1-12-05
[2]
웹사이트
H.264 : Advanced video coding for generic audiovisual services
https://www.itu.int/[...]
2019-11-22
[3]
웹사이트
Video Developer Report 2018
https://go.bitmovin.[...]
2019-09
[4]
웹사이트
Video Developer Report 2019
https://go.bitmovin.[...]
2019-09
[5]
뉴스
Delivering 8K using AVC/H.264
http://www.mysterybo[...]
2017-08-23
[6]
간행물
Via LA's Heath Hoglund Talks MPEG LA/Via Licensing Patent Pool Merger
https://www.streamin[...]
StreamingMedia.com
2023-05-08
[7]
웹사이트
ITU-T Recommendations
https://www.itu.int:[...]
2022-11-01
[8]
웹사이트
H.262 : Information technology — Generic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information: Video
http://itu.int/rec/T[...]
2007-04-15
[9]
웹사이트
Joint Video Team
[10]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5/2003)
http://www.itu.int/I[...]
ITU
2003-05-30
[11]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5/2003) Cor. 1 (05/2004)
http://www.itu.int/I[...]
ITU
2004-05-07
[12]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3/2005)
http://www.itu.int/I[...]
ITU
2005-03-01
[13]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2005) Cor. 1 (09/2005)
http://www.itu.int/I[...]
ITU
2005-09-13
[14]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2005) Amd. 1 (06/2006)
http://www.itu.int/I[...]
ITU
2006-06-13
[15]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2005) Amd. 2 (04/2007)
http://www.itu.int/I[...]
ITU
2007-04-06
[16]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11/2007)
http://www.itu.int/I[...]
ITU
2007-11-22
[17]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2007) Cor. 1 (01/2009)
http://www.itu.int/I[...]
ITU
2009-01-13
[18]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3/2009)
http://www.itu.int/I[...]
ITU
2009-03-16
[19]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3/2010)
http://www.itu.int/I[...]
ITU
2010-03-09
[20]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6/2011)
http://www.itu.int/I[...]
ITU
2011-06-29
[21]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1/2012)
http://www.itu.int/I[...]
ITU
2012-01-13
[22]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4/2013)
http://www.itu.int/I[...]
ITU
2013-06-12
[23]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2/2014)
http://www.itu.int/I[...]
ITU
2014-11-28
[24]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2/2016)
http://www.itu.int/I[...]
ITU
2016-02-13
[25]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10/2016)
http://www.itu.int/I[...]
ITU
2016-10-14
[26]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4/2017)
https://www.itu.int/[...]
ITU
2017-04-13
[27]
웹사이트
H.264: Advanced video coding for generic audiovisual services - Version 26 (Edition 13)
https://handle.itu.i[...]
2019-06-13
[28]
웹사이트
H.264: Advanced video coding for generic audiovisual services - Version 27 (Edition 14)
https://handle.itu.i[...]
2021-08-22
[29]
간행물
RFC 3984 : RTP Payload Format for H.264 Video
http://tools.ietf.or[...]
2005-02
[30]
웹사이트
Which recording mode is equivalent to the image quality of the High Definition Video (HDV) format?
https://ca.en.kb.son[...]
2018-12-08
[31]
웹사이트
ATSC Standard A/72 Part 1: Video System Characteristics of AVC in the ATSC Digital Television System
http://www.atsc.org/[...]
2011-07-30
[32]
웹사이트
ATSC Standard A/72 Part 2: AVC Video Transport Subsystem Characteristics
http://www.atsc.org/[...]
2011-07-30
[33]
웹사이트
ATSC Standard A/153 Part 7: AVC and SVC Video System Characteristics
http://atsc.org/cms/[...]
2011-07-30
[34]
뉴스
Sony introduces new XAVC recording format to accelerate 4K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al and consumer markets
http://www.sony.co.u[...]
Sony
2012-10-30
[35]
뉴스
Sony introduces new XAVC recording format to accelerate 4K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al and consumer markets
http://www.xavc-info[...]
Sony
2012-10-30
[36]
뉴스
Sony goes Red-hunting with PMW-F55 and PMW-F5 pro CineAlta 4K Super 35mm sensor camcorders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2-10-30
[37]
뉴스
F55 CineAlta 4K the future, ahead of schedule
http://pro.sony.com/[...]
Sony
2012-10-30
[38]
뉴스
Ultra-fast "SxS PRO+" memory cards transform 4K video capture
http://www.sony.co.u[...]
Sony
[39]
뉴스
Ultra-fast "SxS PRO+" memory cards transform 4K video capture
http://www.sony.co.u[...]
Sony
[40]
논문
Efficient prediction algorithm of integer DCT coefficients for H.264/AVC optimization
2006
[41]
간행물
Reminiscences of the Early Work in DCT: Interview with K.R. Rao
http://ticsp.cs.tut.[...]
2019-10-13
[42]
서적
Image Analysis and Processing – ICIAP 2005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5
[43]
서적
Discrete Cosine and Sine Transforms: General Properties, Fast Algorithms and Integer Approximat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0
[44]
웹사이트
Introducing HEIF and HEVC
https://devstreaming[...]
Apple Inc.
2019-08-05
[45]
웹사이트
The H.264/AVC Advanced Video Coding Standard: Overview and Introduction to the Fidelity Range Extensions
http://www.fastvdo.c[...]
2011-07-30
[46]
문서
RFC 3984, p.3
[47]
웹사이트
H.264 FAQ
https://www.apple.co[...]
Apple
1999-03-26
[48]
웹사이트
H.264/AVC JM Reference Software Download
http://iphome.hhi.de[...]
Iphome.hhi.de
2010-05-17
[49]
웹사이트
TS 101 154 – V1.9.1 –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 for the use of Video and Audio Coding in Broadcasting Applications based on the MPEG-2 Transport Stream
http://www.etsi.org/[...]
2010-05-17
[50]
웹사이트
Decoding the HTML 5 video codec debate
https://arstechnica.[...]
2011-01-12
[51]
웹사이트
Steve Ballmer, CEO Microsoft, interviewed at Gartner Symposium/ITxpo Orlando 2010
https://www.youtube.[...]
Gartnervideo
2011-01-12
[52]
웹사이트
HTML Video Codec Support in Chrome
https://blog.chromiu[...]
2011-01-12
[53]
웹사이트
Video, Mobile, and the Open Web
https://hacks.mozill[...]
2012-03-20
[54]
웹사이트
WebRTC enabled, H.264/MP3 support in Win 7 on by default, Metro UI for Windows 8 + more – Firefox Development Highlights
https://hacks.mozill[...]
mozilla
2013-02-20
[55]
웹사이트
Firefox — Notes (35.0)
https://www.mozilla.[...]
[56]
웹사이트
Open-Sourced H.264 Removes Barriers to WebRTC
http://blogs.cisco.c[...]
2013-11-01
[57]
웹사이트
Cisco OpenH264 project FAQ
http://www.openh264.[...]
2021-09-26
[58]
웹사이트
OpenH264 Simplified BSD License
https://github.com/c[...]
2013-11-21
[59]
웹사이트
Video Interoperability on the Web Gets a Boost From Cisco's H.264 Codec
https://blog.mozilla[...]
2013-11-01
[60]
웹사이트
Updated README · cisco/openh264@59dae50
https://github.com/c[...]
[61]
문서
x264 4:0:0 (monochrome) encoding support
http://code.videolan[...]
2019-06-05
[62]
문서
x264 4:2:2 encoding support
http://code.videolan[...]
2019-06-05
[63]
문서
x264 4:4:4 encoding support
http://code.videolan[...]
2019-06-05
[64]
문서
x264 support for 9 and 10-bit encoding
http://code.videolan[...]
2011-06-22
[65]
문서
x264 replace High 4:4:4 profile lossless with High 4:4:4 Predictive
http://code.videolan[...]
2011-06-22
[66]
웹사이트
Quick Reference Guide to generation Intel Core Processor Built-in Visuals
http://software.inte[...]
Intel Software Network
2011-01-19
[67]
웹사이트
Intel Quick Sync Video
http://www.intel.com[...]
www.intel.com
2011-01-19
[68]
웹사이트
Design-reuse.com
http://www.design-re[...]
Design-reuse.com
2010-05-17
[69]
웹사이트
Category:DM6467 - Texas Instruments Embedded Processors Wiki
http://processors.wi[...]
Processors.wiki.ti.com
2011-07-30
[70]
웹사이트
Briefing portfolio
http://www.mpegla.co[...]
[71]
웹사이트
OMS Video, A Project of Sun's Open Media Commons Initiative
https://web.archive.[...]
2008-08-26
[72]
웹사이트
Licensors Included in the AVC/H.264 Patent Portfolio License
https://www.mpegla.c[...]
2019-06-18
[73]
웹사이트
AVC/H.264 – Patent List
https://www.via-la.c[...]
2024-04-28
[74]
웹사이트
MPEG LA's AVC License Will Not Charge Royalties for Internet Video that is Free to End Users through Life of License
https://web.archive.[...]
MPEG LA
2010-08-26
[75]
뉴스
MPEG LA Cuts Royalties from Free Web Video, Forever
https://www.pcmag.co[...]
pcmag.com
2010-08-26
[76]
웹사이트
AVC FAQ
https://web.archive.[...]
MPEG LA
2002-08-01
[77]
웹사이트
United States Patent 9,356,620 Baese, et al.
https://patents.goog[...]
2022-08-01
[78]
문서
Qualcomm Inc. v. Broadcom Corp.
http://caselaw.lp.fi[...]
[79]
웹사이트
nokia h264
https://www.nokia.co[...]
[80]
techreport
MPEG-4, Advanced Video Coding (Part 10) (H.264)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1-12-05
[81]
간행물
「JNN次世代HD-SNG中継車」標準仕様車について
兼六館出版
2014-05
[82]
간행물
ロボットカメラ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の更新
兼六館出版
2009-03
[83]
웹사이트
H.264のライセンス料、無料ネット動画は恒久的に不要に
https://www.itmedia.[...]
2023-05-28
[84]
웹사이트
MPEG LA counters Google WebM with permanent royalty moratorium
https://arstechnica.[...]
2010-08-26
[85]
문서
Wild Fox Project
http://wildfox.sourc[...]
[86]
Engadget
Mozilla が H.264 をサポートへ、webM 一本化を断念
https://web.archive.[...]
2012-03-20
[87]
문서
HTML5 Extension for Windows Media Player Firefox Plug-in
http://www.interoper[...]
[88]
웹인용
AVC/H.264 FAQ
http://www.mpegla.co[...]
2016-09-15
[89]
웹인용
OpenH264 FAQ licensing fees.
http://www.openh264.[...]
2016-04-20
[90]
웹인용
H.262 : Information technology — Generic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information: Video
http://itu.int/rec/T[...]
2007-04-15
[91]
뉴스
ITU-T Recommendation H.264 (04/2017)
https://www.itu.int/[...]
ITU
2017-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